logo

GPI 활동

subtitle_2_1.jpg

 ◎ GPI 수행 주요 연구용역

 

     ▶ 「망 산업분야 필수설비 현황 및 접근실태 분석」(공정거래위원회, 2000).
     ▶ 「국가통합재정정보시스템 FRAMEWORK에 관한 연구」(한국전산원, 2000).
     ▶ 「중기재정전망」(한국개발연구원, 2000).
     ▶ 「정책연구비 집행의 효율성 제고방안」(기획예산처, 2001~2002).
     ▶ 「재정사업 사후평가제도 도입방안」(기획예산처, 2002).
     ▶ 「민영KT의 경영자율성 제고방안에 관한 연구」(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, 2002).
     ▶ 「민간위탁중인 분뇨처리시설과 민간위탁 예정인 음식물처리시설의 관리운영비용 산정 연구용역」(서천군, 2004).
     ▶ 「정읍시 습지생태계조사 및 자원발굴용역」(정읍시, 2005~2006).
     ▶ 「쿠바음악자원의 광명화 방안에 대한 연구용역」(광명시, 2005).
     ▶ 「동촌 김석곤 작품세계의 체계적 조명 및 발표전시회 사업」(정읍시, 2007).
     ▶ 「동작구 생활폐기물 수거체계 개선 연구용역(공동참여)」(동작구, 2011).

     ▶ 「윈지코리아컨설팅 사회통합 동향분석 및 PI방향 컨설팅(공동참여)」(대통령실, 2012).

     ▶ 「비욘드리서치 국정기조 관련 민심 심층조사(공동참여)」(대통령실, 2013). 

     ▶ 「한국치의학연구원 설립유치를 위한 전략수립 연구용역 (공동참여)」(광주광역시, 2014).  

     ▶ 「시대환경에 부합한 국민운동단체의 통일운동과 역할」(한국자유총연맹, 2015).

     ▶ 「지역축제(보령머드축제) 설문조사 및 기초자료분석」(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, 2015). 

    ▶ 「제19대 대통령선거 국민의당 정책 평가 및 향후 포지셔닝」(국민의당 정책위원회, 2017). 

  


 ◎ 연구원 참여 주요 연구업적

 

     ▶ “국립치의학연구원 설립 법 제도 정비방안 - 국립치의학연구원 설립 전략 및 추진 계획 -

     ▶ “한국정당 당원의 정당활동의 현황과 당내 민주주의 문제점, 선거정치교육을 통한 당원의 역할 강화 및 정당발전 방안(선거연수원 연구용역)    

     ▶ 「제19대 국회의원선거 강동구갑 지역공약 정책개발

     ▶ 「제19대 국회의원선거 강동구을 지역공약 정책개발

     ▶ “사학연금의 재정효율화 방안”
     ▶ 「남양주시 집단민원 주민의식 조사 및 문화행정서비스 시민만족도 조사」
     ▶ “지방재정요인과 수도권의 인구변화”
     ▶ “수도권 자치단체 간 공공교육서비스 평가”
     ▶ “지방분권화에 따른 자치단체의 대응능력과 과제”(공동)
     ▶ “수도권 자치단체간 주거지 이동의 영향요인-지방공공서비스를 중심으로-”(공동)
     ▶ “지역개발을 위한 지역활성화 사례연구”
     ▶ “지방분권과 지역혁신을 위한 지방정부의 역할 및 과제”(공동)
     ▶ “지역정치인의 리더십 자질평가에 관한 실증분석”(공동)
     ▶ 「한우 유통·관광산업인력 육성방안에 관한 연구」
     ▶ “기초지방의회선거와 정당공천제 도입효과 분석”(공동)
     ▶ 「서울시립 장사시설 주변지역 주민피해 실태조사」
     ▶ “지방재정 분석·진단제도에 관한 고찰”
     ▶ “비선호시설 지역주민의 갈등과 피해유형에 관한 실증분석 - 서울시 장사시설 주변지역을 중심으로 -”  (공동) 
     ▶ 「현업관서 인력운영의 효율성 확보방안」
     ▶ “한국 자치경찰제 도입의 쟁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”
     ▶ “자치경찰제 도입에 따른 지방재정 확충방안에 관한 연구”
     ▶ “부패방지를 위한 시민참여제도: 외국의 사례를 중심으로”
     ▶ “지방공무원의 경력정체 영향요인”
     ▶ “경력정체가 직무결과에 미치는 영향”
     ▶ 「덕적-소야간 교량설치 예비타당성 조사」
     ▶ 「민선 이천시정 10년사」
     ▶ “외국의 정부산하기관 평가실태와 시사점”
     ▶ 「광역시 의회의 정책보좌기능에 관한 연구」
     ▶ “외국의 지방의회 정책보좌기능에 관한 연구”
     ▶ “지역간 정보격차의 해소방안에 관한 연구”
     ▶ 「중앙구매사업단 기능 보강·강화방안」
     ▶ 「연고온정주의 부패친화적 사회문화개선 방안」
     ▶ 「자치법규 및 행정규칙 부패영향평가 모형 보완」
     ▶ 「청렴인물 및 사적지 관련 교육자료 개발」
     ▶ 「2006 자치구 반부패시책 평가」
     ▶ “한국의 연고·온정주의형 부패의 특징에 관한 연구”
     ▶ “지방정부의 청렴도 제고를 위한 자치법규 부패영향평가모형 개발”
     ▶ 「서울시 시민감사청구제 운영실태 분석」
     ▶ “심리적 계약위반에 따른 구성원의 반응 및 절차공정성의 조절효과”
     ▶ 「월미해양보행교 타당성조사 연구보고서」
     ▶ 「지방자치단체 부정부패사건 유형연구」
     ▶ 「외국의 내부공익신고자 보호제도 비교연구」
     ▶ 「행정기관 분산배치에 관한 연구: 행정중심복합도시 건설에 따른 문제점을 중심으로」
     ▶ 「자치구 및 투자출연기관 청렴시책 평가」
     ▶ 「공익신고자 보호제도 도입방안 연구」
     ▶ 「행정동 통폐합 및 기능개편 연구」
     ▶ 「민원업무 관련 이의제기 개선방안」
     ▶ 「자치구 및 투자출연기관 청렴시책 평가」
     ▶ 「한우 유통·관광산업인력 육성방안에 관한 연구」
     ▶ 「다문화시대의 로컬거버넌스 구축방안」
     ▶ 「지방자치단체의 북한 개발지원 전략과 접근방법」
     ▶ 「고충민원 처리실태 확인지표 개발」
     ▶ “남북한 당국간 회담 유형과 남북한관계 변화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”
     ▶ “의회정치제와 대통령제의 비교”
     ▶ “국회의원 선거제도와 정당체계의 상관성 연구”
     ▶ “정보화사회의 정치적 변화에 관한 연구”
     ▶ “관료제의 병폐와 민주주의의 위기에 관한 연구”
     ▶ “동서독 정상회담 사례와 시사점”
     ▶ “역대 동시 지방선거의 회고와 6·13지방선거 평가”
     ▶ “정보사회의 변화와 e-politics의 양상”
     ▶ 「지방자치제하에서의 주민참여 효율화 방안」
     ▶ “한국 지방자치에서 주민참여”
     ▶ “개정선거법과 공명선거”
     ▶ “정부형태론 비교 : 유형과 특성을 중심으로”
     ▶ “독일 사례를 통해 본 통일한반도의 수도”
     ▶ “통일국가의 수도확정에 관한 일 고찰”
     ▶ “국회의원선거제도와 정당체계 변화 : 전국구비례대표제의 영향을 중심으로”
     ▶ “2002년과 2006년 전국 동시 지방선거 비교”
     ▶ “E-politics와 한국 정치문화”
     ▶ “시민사회론의 지평 확대를 위한 시론”
     ▶ “토의 민주주의의 쟁점과 과제”
     ▶ “민주화보상법 운용의 현황과 과제”
     ▶ “민주화운동의 제도적 평가와 과거청산의 과제”

 

※ 연구업적은 계속 추가될 예정입니다.